건설업종은 크게 ▲토목 ▲건축 ▲플랜트 ▲종합건설의 네 종류 업체로 나눠볼 수 있다. 토목은 일반적인 인프라(infra, 사회간접자본) 공사, 건축은 주택, 플랜트는 공장·설비, 종합건설은 토목과 건축, 플랜트 등 전(全) 사업분야를 영위하는 업체를 말한다.
◆ 정부 인프라 발주에 실적 좌우되는 토목 섹터…지하철 사업 확장 호재
이미지 확대보기삼호개발이 주도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 중 3공구의 토공 및 구조물공사.(사진=삼호개발 제공)
토목의 사전적 의미는 '도로, 교량, 제방, 항만, 하천, 철도, 상하수도 등의 건설 공사'이다. 주식시장에서 토목 섹터로 분류되는 업체들은 일반적으로 인프라 공사 사업을 영위하는 곳을 말한다.
인프라는 대부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주한다. 따라서 토목 섹터는 정부의 인프라 확충 계획에 의해 사업 규모가 좌우된다. 연간 매출액의 90% 이상이 토목 분야에서 발생하는 삼호개발이 대표적이다.
2015년과 2019년의 정부의 토목 발주액과 삼호개발 매출액의 연관성을 비교해보면, 정부의 토목 발주액은 2015년에 전년대비 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삼호개발의 매출액은 27%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2019년 정부의 토목 발주액은 53조 원으로 전년(42조 원)대비 30% 가량 증가했는데, 이 때도 삼호개발의 매출액은 35% 뛰었다.
반면 정부의 토목 발주액이 줄어들 수록 삼호개발의 매출액도 줄어드는 모습이 나타난다. 삼호개발 매출액이 역성장한 2012~2013년과 2015~2016년에 정부의 토목 발주액이 감소했다. 이처럼 토목 섹터의 기업 매출액은 정부나 지자체의 토목 발주액과 상당한 연관성을 갖는다.
최근 정부는 인프라 중 지하철 관련 건설 계획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을 잇는 교통시설 확충과 국민 편의를 위해 지하철 노선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삼호개발 관계자는 "경기침체 시기일 수록 정부의 토목 발주액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정부가 경기를 살리기 위한 마중물을 만들기 위해 인프라 사업을 진행하기 때문"이라며 "우리와 같은 토목 섹터 기업들은 정부 인프라 사업이 늘어나면 실적이 좋아질 여지가 커진다"고 설명했다.
건축 섹터는 주택을 주력으로 하는 분야이다. 정부의 재건축·재개발에 의한 공급 정책과 분양 실적이 기업의 실적을 좌우한다.
특히 동원개발과 화성산업 등 일부 기업은 특정 지역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그 지역의 주택 공급량과 분양 실적에 대한 의존도가 다른 기업들보다 월등히 높다.
부산에 거점을 두고 있는 동원개발을 예로 들면, 해운대구 개발이 절정을 맞던 2014~2015년 사이 회사의 매출액은 3500억 원대에서 5300억 원대로 50% 넘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5~2019년 사이 국내 건축 수주액이 81조 원에서 122조 원으로 50.5% 증가하는 동안 동원개발의 매출액은 10% 밖에 성장하지 못했다. 당시 국내 건축 수주가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에 몰리면서 부산지역의 물량은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국내 건설 수주액과 지역의 공급물량은 다를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동원개발 관계자는 "정부의 지역균형 발전 정책으로 내년부터 부산을 비롯한 경남 지역의 주택 공사가 늘어날 전망"이라며 "부산지역 1위 시공능력을 바탕으로 건실한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라고 전했다.
안장섭 더넥스트뉴스 기자 jsan@thenext-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